내 안에 상처받은 어린 아이가 있다

2020. 10. 7. 18:20심리

728x90

모네리자는 우리 안에 꼭꼭 숨겨져 있는 상처받은 아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우리 안에는 상처받은 어린 아이가 살고 있다.

 

 

<모딜리아니, 잔 에뷔테른의 자화상, 1917년경>

 

내 안에 나도 잘 모르는 어린 아이가 숨어있다는 걸 알고 있었는가. 그 어린 아이는 어른의 몸속에서 계속해서 자라난다. 우리는 행복보다는 불행에 익숙해져 있다. 그 이유는 내 안에 무시당하고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아이를 다독거리지 않고 자라나게 한다면 우리의 삶은 불행에 지배당하게 된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우리의 삶을 망친다. 그 아이는 종종 우리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우리의 욕구, 감정 등을 포기하도록 한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우리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외부에 의존하도록 만든다. 이를 상호의존증이라 한다. 건강하지 않은 가족관계에서 자라난 사람은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할 기회를 박탈당한다. 아이는 가정에서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바깥세상으로 눈을 돌린다. 그래서 결국 내면에서 자아존중감을 키우는 능력을 잃어버린다. 내면이 공허한 아이는 외부에서의 성취를 통해 자신을 정의하려 하지만 그러한 처절한 노력은 결국 허탈감으로 되돌아온다. 그래서 길을 잃게 된다.

 

 

<후고 짐베르그, 부상당한 천사, 1903>

 

"이제서야 난 내가 왜 집에 있을 때조차도 집을 그리워하고 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게 되었다."

G.K. 체스터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세상을 신뢰할 수 없다. 아이에게는 온 우주였던 가정이 안전하지 못한 곳이었기 때문에 세상에 대한 아이의 감정은 기본적으로 불신이다. 아이에게 세상은 위험하고 적대적인 곳으로 보인다. 그래서 통제를 통해 자신을 보호하려는 잘못된 선택을 한다. 그는 누구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일들을 스스로 완벽하게 해내려는 헛된 시도를 한다. 자신이 모든 것들을 통제하려는 마음은 관계를 불편하게 만든다. 신뢰에 문제가 있는 이 사람은 역설적이게도 타인을 지나치게 믿는다. 어떤 사람을 믿게 되면 모든 결정권을 그에게 넘겨버린다. 그래서 교활한 사람들에게 속기 쉽다. 때로는 자신의 주변에 높은 보호벽을 쌓아 아무도 접근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시도의 결과는 고립과 외로움이다. 이 사람이 이렇게 혼란스럽게 행동하는 이유는 신뢰감에 대해 제대로 배울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종종 친밀한 것과 맹목적인 것, 관심과 집착, 보호와 통제를 혼동한다.

 

 

<뭉크, 멜랑콜리, 1892>

 

"아주 오랫동안 고통 속에 빠져 있는 사람은 상황에 잘 어울리지 않는 말들을 한다. 그는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하며, 참는다고 해도 현상황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그런 끔찍한 느낌들을 참고 산다."

하비 재킨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충족되지 못한 욕구와 감정을 가지고 있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근본적인 힘은 감정이다. 적절하게 해결되지 못한 감정은 종종 건강하지 않은 방식으로 표출된다. 우리는 때때로 분노하고, 슬퍼하고, 두려워하지만 이 감정을 건강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감정이 우리를 지배하고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처받은 사람은 모순되게도 건강한 삶을 살지 못하고 있는 사람을 도움으로써 자신의 상처를 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이 되풀이되는 이유는 그들의 삶을 도움으로써 자신의 과거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공감할 수 있지만 합리적인 방법은 아니다.

 

 

<쉴레, 엄마와 두 아이, 1915>

 

가장 끔찍한 일 중의 하나는 과거의 학대를 자기 자신에게 표출하는 것이다. 이를 내면적 행동이라 한다. 우리가 털어내지 못한 감정은 우리에게 적대적으로 돌아오곤 한다. 내면에 쌓여있던 분노가 결국 자신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이 안으로 표출되면 신체적인 증상들로 이어지기도 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들, 심각하게는 천식, 심장병, 암 등으로 나타난다. 때로는 자신에게 고통을 줌으로써 자기 자신에게 벌을 주기도 한다. 상처 받은 내면아이는 자랑스럽지도, 사랑스럽지도 않기 때문이다. 아니 부끄럽기 때문이다.

 

 

"나의 아픔은 너무나 지독해서

통제, 완벽주의, 경멸, 비판, 비난, 시기, 판단, 힘, 격노를 통해

당신은 나를 다른 사람들에게 보내야만 할 겁니다.

나의 아픔은 너무나 격렬해서

당신은 중독, 경직된 역할, 재현, 무의식적인 자기방어로

나를 감추어야 할 겁니다.

나의 아픔은 너무나 격렬해서

당신은 마비가 되어버려 더 이상 나를 느낄 수도 없습니다.

마치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내가 없다고 당신에게 확신시키면

당신은 부재와 공허감을 경험합니다.

내 이름은 수치심 중독입니다."

브래드쇼

 

 

<르네 마그리트, 거짓 거울, 1928>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아이는 버림받았다. 아이에게 있어서 버림받는다는 것은 죽음과도 같은 일이다. 아이는 자신이 필요없는 존재라는 수치심을 덮어버리기 위해 온갖 핑계를 만들어 낸다. 이제 어른이 된 우리는 혼자 버려지는 것이 두렵기도 하고 타인들에게 휩쓸려 버리는 것이 두렵기도 하다. 거절을 예감하고 아예 스스로를 고립시켜버리거나 파괴적인 집단을 떠나지 못하기도 한다. 진정한 사랑을 받아보지 못했고 건강한 자기애도 없기 때문에 관계 속에서 친밀함을 경험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들은 항상 거절당하고 살아왔기 때문에 거부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진정한 자신이 아닌 세상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살아간다. 다른 사람들의 각본에 따라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 과정을 통해 자신과 역할의 경계를 잊게 된다.

 

 

<프리다 칼로, 상처입은 사슴, 1946>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공허감에 시달린다. 가슴 속이 텅빈 듯한 느낌은 우울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공허감으로 인한 우울증은 진정한 자아를 찾는 대신 거짓자아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거짓자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삶 자체가 하나의 연기이다. 자신의 삶을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찾기 때문이다. 그는 한 번도 진정한 자신으로 살아보지 못했기 때문에 진정으로 존재해 본 적이 없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어도 자신이 혼자라고 느낀다. 상처받은 그 아이가 공허하고 외로운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다. 그 아이는 해결되지 않은 감정으로 가득 차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모든 신경증은 진정한 고통을 합법적으로 대체한 것이다."

칼 융

 

 

<고야, 디프테리아, 1812>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갖고 있다면 두려움에 떨지 않고도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 상처받은 아이는 버림받았지만 진정한 자신이 누구인지 알게 되면 세상은 더이상 두려운 곳이 아니다. 나는 나 자체로 소중하다. 나로 존재하기 위해서 이유 따위는 필요 없다. 그 아이를 떠나보낼 시간이 왔다. 그 수치스러운 아이와 화해하고 떠나보내는 것이 힘들 수도 있다. 나와 평생을 함께 살아온 아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아이를 밖으로 꺼내어 다독거리고 보듬어주고 애도를 표하자. 건강하게 떠나보내자.

 

 

<조지 헨리 보튼, 봄 서사시, 1901>

 

건강한 사람은 자신의 주위에 튼튼한 경계선이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잘못된 방식으로 우리의 영역을 침범하려 할 때 신호를 보내어 자신을 보호한다. 역설적이게도 경계선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것이다. 튼튼한 경계선이 있다면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분명해진다. 우리는 더이상 상처받은 어린 아이가 아니다.

 

모네리자의 상처받은 내면아이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모네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내면아이에게>

 

이 세상에 온 것을 환영한다.

널 오랫동안 기다려 왔어.

네가 여기에 있어서 너무 좋다.

네 모습 그대로를 사랑한다.

무슨 일이 생겨도 널 떠나지 않을 거야.

네가 필요한 게 무엇이든 다 괜찮아.

네가 갖고 싶어 하고

네게 필요한 걸 언제든지 줄게.

너와 시간을 보내는 게 너무 좋다.

이 세상에서 너와 같은 아이는 없다.

넌 특별하다.

 

 

<참고>

 

브래드쇼,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을 이용하는 사람들  (0) 2020.10.11
나는 누구인가  (0) 2020.10.10
자살할 권리  (1) 2020.10.04
혼밥을 먹지 마라  (0) 2020.09.30
죽음을 부르는 병  (0) 2020.09.24